728x90
반응형
<상한가>
-
한화갤러리아우(상한가, 0.5M)
-
알에프세미(상한가, 5.4M)
-
에이비프로바이오(상한가, 34.5M)
업계는 서 회장이 올해부터 필요하다면 상시 M&A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국내 바이오 벤처들에도 여러 기회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M&A를 위한 준비는 작년이 아니라 꽤 오래전부터 준비하고 있었다. 회장님 말씀대로 플랫폼 기업들을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이중항체,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분야 플랫폼 기술을 폭넓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셀트리온(068270)은 이중항체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에이비프로 코퍼레이션과 협력하고 있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은 고바이오랩과 협력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들 기업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특히 에이비프로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셀트리온이 지난해 9월 총 17억6000만 달러(개발 마일스톤 1000만 달러(약 139억원), 상업화에 따른 매출 달성 마일스톤 17억5000만 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한 만큼 잠재적인 M&A 후보군이 될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거래량 천만주 이상>
-
한화갤러리아(+2.40%, 133.7M)
-
DB(+15.73%, 78.8M)
전날 국내 행동주의 펀드이자 일명 ‘강성부 펀드’로 불리는 사모펀드 운용사 KCGI가 DB하이텍 지분 7%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DB하이텍이 추진 중이 팹리스 사업부 물적 분할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판단한 투자자들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주주들은 사업부 물적 분할이 모회사의 기업 가치를 훼손한다며 반대해왔다.
DB하이텍이 행동주의 펀드의 타깃이 되면서, 이날 투심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CGI는 “DB하이텍이 반도체 분야 특화 공정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시장에서 지위를 다지고 있지만 기업가치는 극도로 저평가돼 있다”고 평가했다.
-
포스코 ICT(+6.98%, 57.3M)
포스코홀딩스는 그룹 지주회사로 포스코케미칼은 2차전지 소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에너지, 포스코ICT는 IT서비스, 포스코엠텍은 철강원료와 포장, 포스코스틸리온은 강판생산을 주력으로 한다.
증권가에서 포스코그룹 계열사의 실적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그룹사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에서는 포스코ICT가 전년도 수해 복구 사업으로 인한 비용 지출과 예정 사업의 수주 순연으로 악화됐던 수익성이 정상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LNG(액화천연가스)사업을 적극 육성하며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부문에서 실적 증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트론(-11.32%, 53.3M)
SK에코플랜트가 이화전기공업과 함께 '연료전지 연계형 무정전 전원장치'(UPS) 특허를 취득하고 관련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는 소식에 이화전기 주가가 강세다.
-
세종메디칼(0%, 50.2M)
카나리아바이오가 난소암 신규 환자를 대상으로 16개 국가 162개 사이트에서 진행하는 '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3상이 DSMB(Data Safety Monitoring Board) 심의를 통과했다.
31일 카나리아바이오에 따르면 이번 글로벌 임상3상은 DSMB에 의해 6개월마다 임상데이터를 검토한다. 또 이번 심사에서 "임상을 계속 진행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다음 DSMB의 검토는 다시 6개월 이후인 2023년 9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글로벌 임상3상은 보조항암요법과 선행항암요법 두개의 코호트(cohort)로 진행된다. 230명을 모집하는 선행항암요법은 이미 환자모집이 완료됐다.
보조항암요법 코호트는 370명을 모집할 계획이며 현재 321명의 환자를 모집한 상태다.
-
지투파워(+26.40%, 49.0M)
원자력이 신재생에너지 특급 도우미로 진화하고 있다. 정부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를 개발해 태양광·풍력이 지니는 간헐성(날씨에 따라 전기출력 변하는 특성)을 보조하겠다는 구상이다. 대형 원전이 1978년부터 주력 전원으로 국가 산업화를 뒷받침했다면, i-SMR은 반세기만인 2028년부터 세계 시장에 진출해 미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시킨다는 계획이다.
김한곤 i-SMR 기술개발사업단장은 최근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대전 본원에서 머니투데이와 만나 "i-SMR은 신재생에너지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도록 개발할 것"이라며 "신재생은 전기출력을 조절할 수 없는 경직성 전원이지만 i-SMR은 전기출력을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높이고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이어 "2050년 탄소중립은 신재생으로만 달성하기 어렵다"며 "신재생 전기출력이 낮아지면 i-SMR은 출력을 높여주고, 반대로 신재생 전기출력이 높아지면 i-SMR은 출력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i-SMR은 신재생 연동뿐만 아니라 잉여 전력으로 수소까지 생산할 수도 있다"고 했다.
-
에이비프로바이오(상한가, 34.5M)
업계는 서 회장이 올해부터 필요하다면 상시 M&A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국내 바이오 벤처들에도 여러 기회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M&A를 위한 준비는 작년이 아니라 꽤 오래전부터 준비하고 있었다. 회장님 말씀대로 플랫폼 기업들을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이중항체,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분야 플랫폼 기술을 폭넓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셀트리온(068270)은 이중항체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에이비프로 코퍼레이션과 협력하고 있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은 고바이오랩과 협력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들 기업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특히 에이비프로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셀트리온이 지난해 9월 총 17억6000만 달러(개발 마일스톤 1000만 달러(약 139억원), 상업화에 따른 매출 달성 마일스톤 17억5000만 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한 만큼 잠재적인 M&A 후보군이 될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
카나리아바이오(+0.55%, 31.7M)
카나리아바이오가 난소암 신규 환자를 대상으로 16개 국가 162개 사이트에서 진행하는 '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3상이 DSMB(Data Safety Monitoring Board) 심의를 통과했다.
31일 카나리아바이오에 따르면 이번 글로벌 임상3상은 DSMB에 의해 6개월마다 임상데이터를 검토한다. 또 이번 심사에서 "임상을 계속 진행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다음 DSMB의 검토는 다시 6개월 이후인 2023년 9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글로벌 임상3상은 보조항암요법과 선행항암요법 두개의 코호트(cohort)로 진행된다. 230명을 모집하는 선행항암요법은 이미 환자모집이 완료됐다.
보조항암요법 코호트는 370명을 모집할 계획이며 현재 321명의 환자를 모집한 상태다.
-
이브이첨단소재(+4.68%, 30.6M)
이브이첨단소재(131400)는 국내 A사로부터 수산화리튬을 공급받아 국내 C사에 공급을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10월과 11월에 하이드로리튬을 통해 리튬플러스에 탄산리튬을 공급한 이후로 지속적으로 리튬 관련 사업을 추진해왔다.
-
기가레인(+1.56%, 23.5M)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이른바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올해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에 기업이 설비투자를 할 경우 세액 공제 비율을 확대하는 내용이 개정안의 핵심이다.
국가전략 기술로는 반도체·이차전지·백신 및 디스플레이와 함께 수소와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형 이동 수단도 명시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조특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세액공제율은 대기업·중견기업의 경우 현행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각각 확대된다.
-
옵티코어(+8.60%, 22.8M)
삼성전자가 235조원에 달하는 5G, 6G 네트워크 사업에 올인하고 있는 가운데 자사의 관련 기술이 부각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옵티코어는 세계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5G 이동통신 및 미래 6G 이동통신에 핵심기술로 요구되고 있는 파장가변형 광트랜시버와 고속 및 장거리 전송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사업 전략에 맞춰서 개발 진행하고 있다.
특히 삼성의 네트워크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가 표출되고 있는 가운데 옵티코어는 자사가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확보하고 있다.
이날 한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5G(5세대)통신시장 확대와 6G통신 시대 도래 등에 따른 통신장비 시장의 본격 개화를 준비하며 네트워크 사업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
세원이앤씨(-0.41%, 21.0M)
-
엘컴텍(-7.92%, 18.6M)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의 여파로 불안감이 금융시장을 강타하면서 투자금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고 있다. 금 선물 가격은 한때 트라이온스당 2000달러를 웃돌았으며, 국내 주식시장에서 금 ETF는 연초 이후 상승률 3~14%를 기록 중이다.
전문가들은 국제 금값 상승이 은행발(發) 불안감 고조에 따른 현상으로 진단하면서도 달러화 강세 압력으로 금값이 역대 최고점을 넘어 2100달러까지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
이수페타시스(-4.62%, 18.3M)
미국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종목인 엔비디아(NVDA)의 시가총액이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투자전문회사 버크셔해서웨이(BRK)를 추월했다.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테마의 대표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올해 시가총액이 87% 급증했다.
30일(현지시간) 컴퍼니마켓캡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6823억달러(약 885조원)로 6위에 기록했다. 이는 버크셔해서웨이의 시가총액인 6752억달러(약 876조원)를 넘어선 수치다. 버크셔해서웨이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6817억달러(약 884조원)에서 올해 6752억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
SFA반도체(-2.92%, 15.0M)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이른바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올해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에 기업이 설비투자를 할 경우 세액 공제 비율을 확대하는 내용이 개정안의 핵심이다.
국가전략 기술로는 반도체·이차전지·백신 및 디스플레이와 함께 수소와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형 이동 수단도 명시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조특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세액공제율은 대기업·중견기업의 경우 현행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각각 확대된다.
-
이아이디(-5.12%, 14.9M)
SK에코플랜트가 이화전기공업과 함께 '연료전지 연계형 무정전 전원장치'(UPS) 특허를 취득하고 관련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는 소식에 이화전기 주가가 강세다.
-
이엔플러스(-9.89%, 14.8M)
-
소니드(+9.26%, 14.3M)
(230330)'2023 서울모빌리티쇼' 전시장 돌아 다니는 고스트로보틱스 사족보행로봇 < 포토뉴스 < 포토 < 기사본문 - 데일리스포츠한국 (dailysportshankook.co.kr)
-
지엔원에너지(+0.11%, 14.3M)
-
신도기연(+19.47%, 13.6M)
정부가 충남 아산시에 있는 삼성디스플레이 공장 일대를 세계 최대 첨단 디스플레이 단지로 전략 육성한다고 공표하면서 신도기연 등 관련주의 주가가 장중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한 매체는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가 이르면 다음주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관련 정책 등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유력 후보지는 충남 아산 탕정면에 위치한 삼성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이다.
정부의 이번 결정을 두고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를 반도체 클러스터 또는 국가산단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고 풀이한다. 이와 동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미래 전략산업을 뒷받침할 거대 생태계가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삼성그룹도 8.7세대 OLED 생산라인에 4조~5조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대감이 몰리고 있다.
신도기연은 폴더블 힌지 라미네이터 장비를 삼성전자에 납품 중인 기업이다.
또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공정을 주도하는 삼성전자에 마이크로 LED 제조에 필요한 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
MDS테크(-3.08%, 13.0M)
미국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종목인 엔비디아(NVDA)의 시가총액이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투자전문회사 버크셔해서웨이(BRK)를 추월했다.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테마의 대표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올해 시가총액이 87% 급증했다.
30일(현지시간) 컴퍼니마켓캡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6823억달러(약 885조원)로 6위에 기록했다. 이는 버크셔해서웨이의 시가총액인 6752억달러(약 876조원)를 넘어선 수치다. 버크셔해서웨이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6817억달러(약 884조원)에서 올해 6752억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
대한전선(+1.00%, 12.2M)
(230331)
-
조일알미늄(-8.79%, 11.8M)
조일알미늄은 알미늄 압연 제조 전문업체로서 양극박을 생산하는 국내 알루미늄 박(Foil) 제조사에 양극박재를 납품하고 있다. 양극박은 얇은 알루미늄 막으로 이차전지 핵심소재에 해당한다.
2021년 회사는 2차전지용 소재 공급 확대를 위한 설비 증설을 추진했다. 이번 증설로 조일알미늄은 생산량 증가 및 생산 효율성, 양극박 소재 가공 능력이 향상됐다.
앞서 지난해 12월엔 롯데알미늄과 1조400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롯데알미늄에 2차전지 양극박 및 일반소재용 알루미늄 스트립(STRIP)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양사는 지난 2021년부터 업무협약을 체결해 제품 생산에 협력해왔다.
-
한화솔루션(+3.47%, 11.5M)
한화솔루션이 거래 재개 첫 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 기대감으로 상승세다.
한화솔루션은 지난달 27일 리테일 부문 인적분할로 거래가 정지된 바 있다. 인적분할 된 리테일부문은 한화갤러리아로 상장된다.
한화솔루션이 거래 재개와 함께 주가가 오른 것은 세제 혜택 수혜 기대감 때문이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IRA 시행으로 미국 내 생산된 태양광 모듈에 대해 와트당 0.07달러, 전 밸류체인이 수직계열화됐을 경우 와트당 0.16달러의 세제혜택이 지급될 예정”이라며 “2032년까지 예상되는 IRA 세제 혜택은 약 58억달러(한화 약 7조5371억원)로, 현금 지급에 따른 투자금 조기 회수와 기업 가치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메리츠증권(-3.17%, 11.5M)
29일 메리츠증권은 보유 중인 자사주 2186만 주를 이달 31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3월 타 증권사와 체결한 자사주 매입 신탁계약을 통해 최근 1년 동안 자사주 총 1566만주를 취득해 왔다. 기존 보유한 620만주까지 더해 이번에 소각이 결정된 전체 자사주를 사들이는데 약 1095억 원을 투입했다.
메리츠증권은 조만간 메리츠금융지주와 주식 교환을 앞두고 있다. 메리츠증권의 모회사인 메리츠금융지주는 지난해 11월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포괄적 주식교환을 발표했다.
메리츠금융은 메리츠증권 주식 100%를 소유하게 되며 기존 주주들이 보유했던 메리츠증권 주식은 메리츠금융 주식으로 다음달 5일 교환될 예정이다.
-
다이나믹디자인(+18.60%, 10.7M)
2차전지 업종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다이나믹디자인의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 사업이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기차 산업의 성장으로 광물자원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주요 광물자원을 지키고 확보하기 위한 국가별 기업별 노력도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니켈 보유국으로 최근 글로벌기업들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앞서 테슬라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의 니켈가공업체 두 곳과 6조5천억원 규모의 니켈구매계약을 체결했고, 포스코홀딩스는 이차전지용 니켈생산을 위해 중국 닝보리친과 협력해 술라웨시에 니켈 중간재 생산공장을 세웠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인도네시아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통해 니켈광산 개발사업 지분의 49%를 확보했다. 포드자동차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에 6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
수성샐바시온(+5.21%, 10.6M)
수성샐바시온의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제 '코빅실'이 중국 알리바바 자회사인 타오바오 입점에 성공했다. 코로나를 비롯해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각종 질환을 예방 수요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에 이어 글로벌 대형 시장인 중국내 B2C 시장 공략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영우디에스피(+4.16%, 10.6M)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마이크로 OLED 상용화를 위해 힘을 합친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부문(DS) 파운드리사업부와 마이크로 OLED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DS부문이 웨이퍼 설계와 회로 구현을 맡고,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증착부터 최종 디스플레이 완성까지 담당하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
두산에너빌리티(+3.98%, 10.5M)
두산에너빌리티가 정부로부터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을 따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수력원자력과 약 2조9000억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3·4호기에 들어가는 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발전기 등 핵심 주기기를 제작, 공급한다. 경북 울진군에 건설되는 신한울 3·4호기는 각각 2032년과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
상지카일룸(+16.20%, 10.5M)
상지카일룸(042940)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4억3804만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1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5.2% 늘어난 503억5020만원, 당기순손실은 71.5% 줄어든 112억3999만원으로 집계됐다.
-
DB하이텍(+18.33%, 10.3M)
전날 국내 행동주의 펀드이자 일명 ‘강성부 펀드’로 불리는 사모펀드 운용사 KCGI가 DB하이텍 지분 7%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DB하이텍이 추진 중이 팹리스 사업부 물적 분할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판단한 투자자들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주주들은 사업부 물적 분할이 모회사의 기업 가치를 훼손한다며 반대해왔다.
DB하이텍이 행동주의 펀드의 타깃이 되면서, 이날 투심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CGI는 “DB하이텍이 반도체 분야 특화 공정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시장에서 지위를 다지고 있지만 기업가치는 극도로 저평가돼 있다”고 평가했다.
-
엔에스엔(+15.45%, 9.3M)
엔에스엔은 엘디미디어플러스 지분 40.0%에 해당하는 주식 360만주를 양수하기로 결정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양수금액은 80억원으로 총자산 대비 12.33% 규모다. 7월21일 양수 예정이다.
엔에스엔 관계자는 "사업다각화를 위한 공동사업 추진과 영업이익 확대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728x90
반응형
'함께 하는 투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06(목) 상한가 + 거래량 천만주 종목 (0) | 2023.04.06 |
---|---|
230404(화) 상한가 + 거래량 천만주 종목 (0) | 2023.04.04 |
230330(목) 상한가 + 거래량 천만주 종목 (0) | 2023.03.30 |
230329(수) 상한가 + 거래량 천만주 종목 (0) | 2023.03.29 |
230328(화) 상한가 + 거래량 천만주 종목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