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하는 투자 :)

230228(화) 상한가 + 거래량 천만주 종목

by 성장통통통 2023. 2. 28.
728x90
반응형

<상한가>
 
  • 미래컴퍼니(상한가, 4.0M)
헬스케어 로봇을 생산하는 미래컴퍼니가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성장 전망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디지털 헬스케어가 이처럼 주목을 받은 이유는 삼성전자가 미래먹거리로 이 분야를 낙점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탓이다. 삼성전자는 이르면 올 하반기 의료기기용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을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고 알려졌다.
미래컴퍼니는 차세대 복강경 수술 로봇을 개발한 회사다. 기존에 개복, 복강경 또는 내시경 등을 이용하던 수술 과정을 작은 절개부를 통해 최소 침습 복강경 수술 로봇을 삽입해 수술하게 함으로써 신체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여 생존율과 수술 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신개념 수술 로봇이다.
 
  •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상한가, 2.2M)
이날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이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와 협업해 국내에 가상자산거래소를 설립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거래량 천만주 이상>
 
  • MDS테크(+0.63%, 64.0M)
MDS테크가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그래픽처리장치(GPU)인 ‘엔비디아 A100’을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강세다.
CNBC와 MDS테크 홈페이지 등에 따르면, 최근 챗GPT 열풍이 불면서 AI에 최적화된 개당 1만 달러(약 1300만 원)에 달하는 반도체 ‘A100’을 엔비디아가 생산하고 있다.
 
  • KTcs(+16.17%, 54.6M)
KTcs와 KTis는 고객센터(컨택센터), 114번호 안내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KT계열사이며 특히 KTcs의 경우 AICC(AI컨택센터)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어 AI관련주로 분류된다.
양사 모두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발표한데다 최근 증시의 AI에 대한 기대감까지 겹치며 이날 주가가 급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11월 KT는 초거대 AI ‘믿음’ 상용화 등을 포함한 3대 발전전략을 제시했는데 이 자리에서 초거대 AI를 통해 KT 자체 AICC 서비스를 진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실리콘투(+9.46%, 47.4M)
정부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단기비자 발급을 재개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실리콘투의 주가가 강세다.
 
  • 이트론(+2.82%, 41.8M)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 업체 엘앤에프(066970)가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와 '대박' 계약을 체결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아이디(093230)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아이디는 100% 자회사인 케이아이티(KIT)가 엘앤에프를 비롯해 에코프로비엠, SDI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이에 이번 거대 계약의 수혜 기대감에 강한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케이아이티는 양극재 생산공정 중 파우더 시스템(Powder System) 장비를 제조하는 업체다. 파우더 시스템은 양극재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를 혼합하고 계량해 소성공정(RHK Line)으로 공급하고, 소성된 제품을 분쇄 포장하는 일련의 장비다. 
케이아이티는 해당 공정 중 소성로를 제외하고 일체의 장비를 제조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분야에서 국내 최상위권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쌍방울(+2.74%, 28.5M)
검찰이 김성태 전 쌍방울 그룹 회장의 해외 도피를 도운 수행비서를 구속기소했다.
수원지검 형사6부(김영남 부장검사)는 27일 범인도피 혐의로 김 전 회장의 수행비서 박모씨를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박씨는 지난해 5월 31일 김 전 회장이 도피 목적으로 해외로 나갈 때 함께 출국했으며, 김 전 회장의 ‘금고지기’라 불리는 재경총괄본부장김모씨 등이 출국해 검찰 수사를 받지 못하게 도피를 도운 혐의를 받는다.
 
  • KTis(+4.30%, 26.8M)
KTcs와 KTis는 고객센터(컨택센터), 114번호 안내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KT계열사이며 특히 KTcs의 경우 AICC(AI컨택센터)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어 AI관련주로 분류된다.
양사 모두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발표한데다 최근 증시의 AI에 대한 기대감까지 겹치며 이날 주가가 급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11월 KT는 초거대 AI ‘믿음’ 상용화 등을 포함한 3대 발전전략을 제시했는데 이 자리에서 초거대 AI를 통해 KT 자체 AICC 서비스를 진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미래아이앤지(-9.05%, 26.1M)
골드퍼시픽은 13일 오전 10시35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6.56% 내린 329원에 거래 중이다. 골드퍼시픽의 최대주주 미래아이앤지(007120)도 12.22% 하락한 474원에 거래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단(단장 단성한)은 작년 8월께 골드퍼시픽 등의 주가조작 혐의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이첩받아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골드퍼시픽이 대외적으로 홍보한 내용이 과장됐거나 허위 사실이라고 보고 있다.
골드퍼시픽은 자사 제품의 세포 내 감염 억제 능력이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보다 50배 이상의 효능을 보인다고 홍보해왔다.
 
  • 미스터블루(+5.10%, 22.1M)
웹툰을 만화에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만화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28일 웹툰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했다.
 
  • DB(+10.13%, 21.3M)
DB손보의 이같은 상승 배경은 우선 김준기 DB그룹 창업자의 DB에 대한 지분 확대가 꼽힌다. 이로 인해 DB손보까지 동반 상승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DB는 DB그룹의 3가지 사업군(보험·금융·제조서비스) 중 제조 서비스 부문(DB하이텍·DB메탈 등)의 지배주주다. 다만 보험·금융 부문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DB손해보험에 대한 지분은 없다. DB의 지분율은 김 창업회장의 장남 김남호 DB그룹 회장(16.8%), 김 창업회장(15.9%), 김주원 DB그룹 부회장(9.9%) 순이다. 김주원 부회장은 김 창업회장의 자녀다.
DB의 오너가 지분율은 지난해 말 DB그룹 공익법인 DB김준기문화재단이 보유한 DB 지분 전량(864만여 주)을 김 창업회장에게 매각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이로인해 김 창업회장의 지분은 기존 11.6%에서 15.9%로 늘었다.
아울러 DB의 자회사 DB하이텍가 배당을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DB의 주가를 끌어올렸다. 이로 인해 DB손보의 주가도 동반 상승 탄력을 받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DB하이텍 소액주주 연대가 배당 확대 등의 주주제안을 한 직후인 이달 중순부터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매수 규모가 커지고 있다.
DB손보 자체만의 호재로는 새국제회계제도(IFRS17) 도입으로 인한 계약서비스마진(CSM)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꼽힌다. 
 
  • 모아데이타(+0.19%, 18.2M)
모아데이타가 인공지능(AI) 이상탐지 및 예측솔루션 기대감에 상승세다.
모아데이타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2014년 설립돼 국내 최초로 AI 기술을 활용한 이상 탐지 및 예측솔루션 제품을 출시했다.
회사 측은 "2014년 회사 창업부터 이상탐지를 위해 AI의 핵심인 딥러닝 알고리즘 적용을 착안해 다양한 연구와 기술개발을 통해 AI기술의 태동기인 2015년에 세계 최초로 AIOps 제품을 출시해 현재 국내 최초의 인공지능 기술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설명했다.
 
  • 모비데이즈(0%, 17.1M)
메타가 대규모 인공지능(AI) 언어 모델(LLM·Large Language Model)을 발표한 가운데 페이스북 공식 AI파트너사인 모비데이즈의 주가가 강세다.
전날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라마(LLaMa.Large Language Model Meta AI)'라는 이름의 대규모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개발자들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메타는 라마를 다른 연구자나 엔지니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이는 챗지피티 엔진이랄 수 있는 오픈AI 'GPT-3.0'과 구글의 '람다'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는 것과 다르다.
라마는 엘엘엠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파라미터) 수를 70억개, 130억개, 330억개, 650억개 등으로 나눠서 운영할 수 있다. 매개변수란 인공지능이 정확한 결과 값을 만들기 위해 계산에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변수(가중치·절편)로, 그 수가 클수록 추론 능력이 향상되고 더 정교한 모델이 된다.
 
  • 코오롱모빌리티그룹(+16.76%, 16.9M)
이날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이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와 협업해 국내에 가상자산거래소를 설립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 브리지텍(+16.10%, 15.3M)
AI 콜센터, 음성인식 등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브리지텍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인공지능 활용 챗봇GPT가 민간에서 공공영역으로 확산되면서 수혜를 입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4일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전략과 챗GPT 등 인공지능의 공공분야 활용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지능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를 열었다.
 
  • 소프트센(+5.30%, 14.6M)
24시간 전화상담이 가능한 소아 전문 상담센터 시범사업을 한다는 소식에 23일 장 초반 원격 의료 관련 종목들이 강세다.
 
  • SM C&C(+3.60%, 14.2M)
하이브가 주당 12만원에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이하 SM) 발행주식의 25%를 사들이는 공개매수가 28일 사실상 종료됐다.
증권업계에서는 SM 주가가 상승해 12만원을 넘어섰기 때문에 하이브가 목표한 물량을 채우지 못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SM 주가는 '기타법인' 단일 계좌가 SM 주식을 순매수한 영향으로 13만원에 가깝게 상승하며 하이브가 제시한 공개매수가격을 넘었다.
 
 
  • 아이큐어(+19.94%, 13.5M)
아이큐어가 도네페질 패치 글로벌 독점 라이센스 및 공급 계약을 진행했다는 소식에 급등했다.
총 계약 규모는 약 665억원(4829만유로)이다. 이는 계약금 약 14억원(100만유로) 및 단계별 허가 및 세일즈 마일스톤 약 110억원(800만유로)과 발매 후 10년간 양사가 합의한 예상 누적 공급금액 약 541억원(3929만유로)을 합산한 금액이다.
 
  • 와이즈버즈(+9.31%, 13.2M)
미국 소셜미디어 기업 스냅이 오픈AI의 GPT에 기반한 인공지능(AI) 챗봇 '마이 AI'를 출시한다는 소식에 국내 파트너 에이전시로 선정된 와이즈버즈가 부각받고 있다.
 
  • 골든센츄리(+5.63%, 12.6M)
골드퍼시픽은 13일 오전 10시35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6.56% 내린 329원에 거래 중이다. 골드퍼시픽의 최대주주 미래아이앤지(007120)도 12.22% 하락한 474원에 거래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단(단장 단성한)은 작년 8월께 골드퍼시픽 등의 주가조작 혐의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이첩받아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골드퍼시픽이 대외적으로 홍보한 내용이 과장됐거나 허위 사실이라고 보고 있다.
골드퍼시픽은 자사 제품의 세포 내 감염 억제 능력이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보다 50배 이상의 효능을 보인다고 홍보해왔다.
 
  • KEC(-0.38%, 12.2M)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월 1일(현지시간) 진행될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반값 테슬라’ 출시 계획을 발표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테슬라의 장기 계획 청사진인 ‘마스터플랜 3’를 공개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지난 7일 트위터 글에서 ‘마스터플랜 3’에 대해 “지구를 위해 완벽하게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미래로 가는 길”이라고 소개했다
 
  • 핑거스토리(+10.53%, 12.1M)
웹툰을 만화에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만화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28일 웹툰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했다.
 
  • 이아이디(+12.67%, 12.1M)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 업체 엘앤에프(066970)가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와 '대박' 계약을 체결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아이디(093230)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아이디는 100% 자회사인 케이아이티(KIT)가 엘앤에프를 비롯해 에코프로비엠, SDI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이에 이번 거대 계약의 수혜 기대감에 강한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케이아이티는 양극재 생산공정 중 파우더 시스템(Powder System) 장비를 제조하는 업체다. 파우더 시스템은 양극재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를 혼합하고 계량해 소성공정(RHK Line)으로 공급하고, 소성된 제품을 분쇄 포장하는 일련의 장비다. 
케이아이티는 해당 공정 중 소성로를 제외하고 일체의 장비를 제조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분야에서 국내 최상위권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휴림로봇(-0.19%, 11.9M)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오는 3월 2일 로봇 규제혁신 로드맵2.0을 발표한다는 소식이 호재가 된 모습이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지난 21일 열린 첨단로봇 전략 협의체(Alliance) 발족식에서 “3월 중에 로봇업계 수요를 반영한 ‘로봇 규제혁신 로드맵2.0’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삼부토건(+3.57%, 11.9M)
화장품 유통 및 건설사업 전문기업 디와이디가 오는 24일 삼부토건 최대주주에 오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인수가 순조롭게 진행되는 가운데, 영업이익도 흑자전환에 성공해 관리종목 탈피 기대감이 높아져 장 중반 디와이디 주가는 약 12% 상승했다.
 
  • 웨이버스(+0.88%, 10.5M)
공간정보산업 플랫폼 업체 웨이버스 가 강세다. 윤석열 정부가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신기술 분야에 대한 규제 개혁에 나선다는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미래나노텍(+5.18%, 10.5M)
중국 중앙정부가 최대 리튬 생산지 이춘에 대해 리튬 채굴 산업 전반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중국 중앙정부 합동조사단이 장시성 이춘에 대한 리튬 채굴 산업 전반을 조사 중이라고 28일 보도했다. 
 
  • 이수페타시스(+0.33%, 9.9M)
이수페타시스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진 이유는 연초 증시를 덮친 챗GPT 관련 모멘텀 덕분입니다. 오픈에이아이(OpenAI)가 개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는 지난해말 공개된 이후 고도의 학습 능력과 원하는 결과물에 대한 정확도 등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백길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챗GPT 모델을 훈련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향후 시장 확대로 인해 글로벌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의 투자 또한 증가할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